일반적으로 노화는 인간의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인지한다. 그러나 후성유전학을 깊이 있게 이해하다보면 노화는 또다른 얘기가 된다. 이 글에서는 노화 과정에서 변수 유발하는 후성유전학에 대해서 얘기해보겠다. 후성유전학의 이해후성유전학은 DNA의 염기 서열을 변경하지 않고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기전으로 노화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생명체가 나이를 먹어감에 따라 세포 내에서 축적되는 후성유전학적 변화는 유전자 발현 패턴을 바꾸고, 이는 세포의 기능 저하와 조직 노화로 이어진다. 이러한 후성유전학적 변화는 DNA 메틸화, 히스톤 변형, 비암호화 RNA의 발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이들 중 각각이 노화의 진행과 관련된 여러 기전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DNA 메틸화는 염기 서열의 특정 부위에 메틸기를..